Study/아티클스터디

📰[아티클스터디]No.6 여기어때가 카테고리홈에 '검색'을 더했더니?!✨

예진이 2025. 3. 16. 02:36

여기어때 - 카테고리 홈에 검색기능을 더했더니?

제가 이번주 레퍼런스 분석을 여기어때를 하다가 본 아티클인데 주제도 재밌고, 실험프로세스 설명도 흥미로워서 원래 다른 아티클을 하려고 노션에 정리해뒀다가 "오! 이거다" 하면서 급변경했어요...ㅎ 

🔗 원문보기

 

카테고리홈에 검색 기능을 더했더니?

글. 노희정(Mahina) / Product Owner

techblog.gccompany.co.kr

 

이번 글에서는 여기어때팀의 아티클을 읽고, 개인적으로 인상 깊었던 부분과 얻은 인사이트를 정리해보았습니다.☺️


🎯 내용 요약

 

1️⃣ 문제점

  • 카테고리홈의 불편함
    • 지역 리스트가 복잡하고 직관적이지 않음
    • 사용자들이 원하는 지역을 빠르게 찾기 어려움
  • 비즈니스적 한계
    • 지역 그룹을 재구성하면 비즈니스 운영에 부담 발생

2️⃣ 해결 방법

  • 기존 카테고리홈에 익숙한 ‘검색 기능’ 추가
    • 기존 검색 로직 유지, 선택한 숙소 유형 내에서만 검색 결과 노출

3️⃣ 결과 및 성과

  • 숙소 상세페이지(PDP) 진입률 증가
    • 사용자가 원하는 숙소를 더 빠르고 쉽게 찾게 됨
  • 구매 전환율 및 거래액(GMV) 상승
    • 탐색 경험 개선으로 가격이 높아도 원하는 숙소를 발견하고 예약하는 사례 증가
  • 카테고리별 사용자 탐색 패턴 분석 가능
    • 모텔: 사용자들이 지하철역, 소지역명 중심 검색 - ex)강남, 홍대
    • 호텔·펜션: 제휴점명, 대지역명 중심 검색 - ex) 강릉, 여수

원문 자료에서 발췌하였습니다(상단 원문 링크)


✨ 인상 깊었던 부분

 

  • ‘구조를 바꾸지 않고 불편함을 해결했다’는 점이 가장 인상 깊었습니다. 비즈니스 구조가 복잡할 땐 무리해서 구조를 바꾸기보다는, 사용자들이 익숙하게 쓰는 기능을 더하는 게 오히려 효과적일 수 있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 모텔과 호텔·펜션의 사용자들이 검색에서 완전히 다른 행동 패턴을 보인 점이 재미있었습니다. 모텔은 구체적으로 소지역명이나 지하철역을 많이 검색했고, 호텔·펜션은 이미 가려는 제휴점을 정하고 검색하는 사용자가 많았다는 패턴 분석이 흥미로웠습니다.
  • 특히 기능 실험이 성공한 요인을 분석하고, 실험을 통해 얻은 인사이트를 도출해내 이후 계획까지 생각하신게 충격적(positive)이었습니다!!!!!!!!

💡 얻은 인사이트

 

  1. 사용자의 불편을 해결할 때는 익숙한 방법을 우선 활용하는 것.
    • 굳이 어렵게 새로운 걸 만드는 대신, 사용자가 이미 편하게 느끼는 기능을 추가하는 것만으로도 큰 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2. 구조적 문제는 우회해서 해결할 수도 있다는 것.
    • 구조적인 변화가 어렵다면 '기능 추가'와 같이 유연하게 접근할 수 있고, 비즈니스적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3. 사용자의 검색 행동이 곧 사용자의 명확한 의도를 보여주는 것.
    • 카테고리마다 사용자들이 찾는 키워드가 달라지는 패턴을 분석하는 부분에서 사용자 행동 데이터를 깊이 들여다보는 중요성과 익숙한 기능 속에서 사용자에게 더 자유로운 옵션 제공으로 유의미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

저는 아직 A/B 테스트를 해본 적은 없는데, A/B 테스트로 사용자의 모든 패턴을 알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복잡하지 않은 테스트(잘 모름)에서도 유의미한 데이터를 얻을 수 있고, 익숙한 기능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점이 정말 인상깊었던 것 같아요!

 

여기어때 기술블로그에는 다양한 주제들이 많아서 들어갈 때마다 "우와.. 이렇게도 할 수 있구나"를 느끼고,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신경쓰는게 느껴지는 것 같아요!

여러분들도 한 번 읽어보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