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I 27

[제로베이스 UIUX 디자인 취업스쿨_35기]Week.8

이번 주차에서는 포토샵의 기본 개념과 여러 기능들을배웠습니다!강의 내용 간단히 정리하면서 이번 주차 일지 써볼게요..🫠✏️ 강의 내용정리기억에 남는 개념은 레이어의 개념이었습니다. 강의를 듣고 느낀 것은 포토샵은 결국 레이어를 얼마나 잘 다루느냐인 것 같아요레이어: 각각의 객체(이미지, 텍스트 등)를 독립적으로 조작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전 투명한 종이를 여러 장 겹쳐서 작업한다고 생각하고 실습했어요)Chapter 01-03: 포토샵에서의 기본 개념 이해 및 레이어 개념 숙지Chapter 04-05: 채색과 선택 영역 도구 사용법Chapter 06-09: 펜툴로 정확한 모양 제어, 텍스트 입력 및 수정, 이미지 보정 방법,  레이어 활용Chapter 10-12: 일러스트레이터의 기본 개념, 선과 면..

Study/학습일지 2025.03.29

💨[레퍼런스분석]No.8 글로우픽

화장품 살 때 가장 먼저 뭘 확인하시나요? 저는 무조건 리뷰부터 봐요. 단순한 별점보다는 “나랑 비슷한 피부 타입이 쓴 후기”가 훨씬 믿음이 가더라고요....ㅎ다들 “화해랑 글로우픽 중에 뭐가 더 나아?”라는 질문을 한 번쯤 들어보셨을 거예요. 뷰티 관련 어플은 각자 추구하는 방향이 다르기 때문에 사실 뭐가 더 나은지를 비교하는 질문은 의미가 없는 것 같아요.  글로우픽은 사용자 리뷰를 기반으로 화장품을 랭킹화하고, 내 피부 타입에 맞는 제품을 추천해주는 리뷰 중심 뷰티 플랫폼이에요. 코덕 뿐만 아니라 화장품을 구매하려는 이들에게 유용한 어플인 것 같아요. 실사용자들이 남긴 진짜 리뷰 덕분에, 제품을 사기 전 꼼꼼히 비교하고 결정할 수 있거든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뷰티 리뷰 플랫폼이 왜 인기가 많은지..

Study/UIUX 2025.03.28

📰[아티클스터디]No.7 UX 디자인의 핵심 원칙! 근접성(Proximity)이 뭐야?

UX 디자인의 원칙, 근접성(Proximity)최근 브런치에서 "UX 원칙 - 근접성(Proximity)" 에 대한 아티클을 흥미롭게 읽어서 이번 아티클 스터디 주제로 좋겠다 싶어서 들고 왔습니다서!! 디자인을 공부 하다 보면 "예쁘게" 보이는 것에 집중하기 쉽지만, 실제로는 정보의 구조화와 사용자의 인지 방식에 맞춘 설계가 더욱 중요하다는 사실을 다시금 느끼게 해준 글이었습니다.🔗 원문보기이번 포스팅에서는 해당 글의 내용을 요약하고, 인상 깊었던 부분, 그리고 나만의 인사이트를 정리해볼게요잇🫣 UX 원칙 - 근접성 Proximity근접한 개체들은 동일한 개체로 인식된다 | 근접성은 서로 가까이 있는 디자인 요소는 유사한 기능이나 특성을 공유하는 동일한 그룹으로 인식된다는 원칙이다. 사람들은 요소들의..

[제로베이스 UIUX 디자인 취업스쿨_35기]Week.7

이번 주차에서는 실무 프로세스 및 노하우(에이전시, 스타트업, 게임 UX), 포트폴리오에 대한 강의를 배웠습니다!강의 내용 간단히 정리하면서 이번 주차 일지 써볼게요..🫠✏️ 강의 내용정리에이전시에이전시의 업무 진행 형태컨설팅서비스의 방향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에서 방향을 잡아주는 형태등의 수행과정들을 거친다.인터뷰공간이 별도로 필요함PC와 같은 기본장비와 더불어 사용자 인터뷰를 할 수 있는ex) Usability TestingFocus Group Interview, Shadowin, In-Depth Interview 등구축과 리뉴얼서비스의 골이 명확하게 존재하고, 고객의 니즈또한 존재함골을 달성하기위한 정보구조의 정의, 개발가능 여부에 따른 기능정의ex)Customer Journey Map, UX St..

Study/학습일지 2025.03.22

💨[레퍼런스분석]No.7 점신

여러분은 사주나 타로를 믿으시나요? 저는 재미로 사주나 타로 보는 것을 좋아하는데요! 중요한 일을 앞두고 있거나 새해를 맞이할 때면 직접 가기도 하고 어플로 확인도 해보곤 해요🫣 이럴 때 저는 '점신' 어플을 종종 쓰곤 합니다!'점신'은 오늘 하루 운세가 궁금할 때, 고민이 생길 때 가볍게 열어볼 수 있는 운세 앱이에요. 특히 ‘오늘 운세 뭐지?’, ‘요즘 연애운 괜찮으려나?’ 하며 가볍게 확인할 수 있어 많은 사용자들이 방문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런 '점신' 앱이 왜 인기가 많은지, UX 관점에서 점신의 차별화된 강점 및 화면구성들을 분석해볼게요잉.😉1. 점신의 현황은?"점신"은 사용자의 생년월일과 간단한 정보만으로 오늘의운세, 신년운세, 타로, 전문 상담사와의 상담 등 다양한 운세 서비스를 ..

Study/UIUX 2025.03.22

📰[아티클스터디]No.6 여기어때가 카테고리홈에 '검색'을 더했더니?!✨

여기어때 - 카테고리 홈에 검색기능을 더했더니?제가 이번주 레퍼런스 분석을 여기어때를 하다가 본 아티클인데 주제도 재밌고, 실험프로세스 설명도 흥미로워서 원래 다른 아티클을 하려고 노션에 정리해뒀다가 "오! 이거다" 하면서 급변경했어요...ㅎ 🔗 원문보기 카테고리홈에 검색 기능을 더했더니?글. 노희정(Mahina) / Product Ownertechblog.gccompany.co.kr 이번 글에서는 여기어때팀의 아티클을 읽고, 개인적으로 인상 깊었던 부분과 얻은 인사이트를 정리해보았습니다.☺️🎯 내용 요약 1️⃣ 문제점카테고리홈의 불편함지역 리스트가 복잡하고 직관적이지 않음사용자들이 원하는 지역을 빠르게 찾기 어려움비즈니스적 한계지역 그룹을 재구성하면 비즈니스 운영에 부담 발생2️⃣ 해결 방법기존 카..

[제로베이스 UIUX 디자인 취업스쿨_35기]Week.6

벌써... 6주차네요...... 시간이 너무 빠른 것 같아요......이번 주차에서는 프로토파이 툴에 대한 강의, 실무 프로세스 및 노하우(카카오, 네이버, ssg)에 대한 강의를 배웠습니다!강의 내용 간단히 정리하면서 이번 주차 일지 써볼게요..🫠UIUX 디자인 툴 Protopie ✏️ 강의 내용정리프로토타입이란?제품을 실제로 만들기 전에 제품과 유사하게 만들어 제품의 오류나 결함등을 찾아내는 과정 프로토타입의 필요성오류와 결함을 찾아내기 위해서 (사용자 테스트 포함)엔지니어와 소통하기 위해서경영진 등 비즈니스 이해관계를 설득하기 위해서프로토타입 툴Lo -Fidelity-> Figma, Sketch, AdobeXDHi-Fidelity -> Framer, Protopie, AfterEffect크게 Lo..

Study/학습일지 2025.03.14

📰[아티클스터디] No.5 요즘 서비스들은 다 개인화하고 있다며?

각 서비스의 개인화 전략 – 인사이트 탐색최근 브런치에서 삼쩜삼 디자인팀이 작성한 「각 서비스가 개인화하는 방식」 글을 읽었습니다. 다양한 서비스가 어떻게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하는지, 그리고 그 전략이 사용자 경험(UX)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원문보기 각 서비스가 개인화하는 방식삼쩜삼 디자이너들이 찾은 각 서비스 사례 | 들어가며 안녕하세요, 삼삼오오 스터디장이자 삼쩜삼에서 프로덕트 디자인을 하고 있는 HE입니다.먼저 저희 삼삼오오 스터디에 대해 알려 드릴게요.brunch.co.kr📌 글 요약이 글에서는 오늘의집, 멜론, 핀터레스트, 네이버 및 네이버 쇼핑을 사례로 들어 각 서비스가 어떻게 사용자의 행동과 관심사를 기반으로 맞춤형 경험을 제공하는지를 분석합니다.오늘의집: ..

[제로베이스UIUX 디자인 취업스쿨_35기] Week.5

📖 UI 디자인 기초  강의 정리 – Chapter 1 & 2이번주에는 UI 디자인기초를 배우는 Chapter 1과 인터페이스 디자인 기초를 다루는 Chapter 2를 학습하였습니다.제가 학습한 내용을 아주 간략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강의 내용정리레이아웃과 그리드 시스템일관성 있는 디자인을 위해 그리드 시스템을 활용하면 가독성과 정돈된 느낌을 줄 수 있다.이전 챕터인 Adobe XD 때처럼 Google Material Design 기반으로 컬럼, 거터, 마진 등의 개념을 다시금 복습할 수 있었다.컬러 시스템 & 타이포그래피컬러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색상의 조화와 접근성을 고려해야 한다.타이포그래피는 가독성을 높이는 것이 핵심이며, 적절한 폰트 선택과 계층 구조를 활용하는 ..

Study/학습일지 2025.03.09

💨[레퍼런스분석]No.5 다방

🏠 다방집을 구할 때 어떤 앱을 가장 먼저 떠올리시나요? 부동산 직거래 앱이 많지만, 다방은 특히 원룸·투룸·오피스텔 매물에 특화된 서비스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어요. 2013년 출시된 이후 직관적인 인터페이스와 다양한 필터 기능으로 젊은 층이 자취방을 구할 때 필수적으로 거치는 플랫폼이 되었죠!다방은 단순히 매물을 검색하는 것뿐만 아니라, 보증금·월세 비율 조정 기능, 분양 정보 탐색, 평균 거래가 등 사용자 중심의 편리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다방의 분석에서는 화면 구성과 Selling Point & Pain point, Solution을 정리해보겠습니다.☺️1. 다방의 현황은?최근 부동산 플랫폼 시장은 더욱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어요. 네이버 부동산, 직방, 호갱노노 등 다양한 ..

Study/UIUX 2025.03.09